성서의 달란트 비유와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세상의 본질

 

성서를 읽어보면,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들을 통찰한 구절들이 많이 있습니다. 기독교인이 아니더라도 살면서 한 번은 생각해보면서 읽을만한 책이라고 볼 수 있죠.

오늘은 성서의 달란트 비유의 의미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

달란트 비유 원문(마태복음 25장)

14   "또 하늘 나라는 이런 사정과 같다. 어떤 사람이 여행을 떠나면서, 자기 종들을 불러서, 자기의 재산을 그들에게 맡겼다.

15   그는 각 사람의 능력을 따라, 한 사람에게는 다섯 2)달란트를 주고, 또 한 사람에게는 두 달란트를 주고, 또 다른 한 사람에게는 한 달란트를 주고 떠났다.

16   다섯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곧 가서, 그것으로 장사를 하여, 다섯 달란트를 더 벌었다.

17   두 달란트를 받은 사람도 그와 같이 하여, 두 달란트를 더 벌었다.

18   그러나 한 달란트 받은 사람은 가서, 땅을 파고, 주인의 돈을 숨겼다.

19   오랜 뒤에, 그 종들의 주인이 돌아와서, 그들과 셈을 하게 되었다.

20   다섯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말하기를 '주인님, 주인께서 다섯 달란트를 내게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다섯 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하였다.

21   그의 주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잘했다! 착하고 신실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신실하였으니, 이제 내가 많은 일을 네게 맡기겠다. 와서, 주인과 함께 기쁨을 누려라.'

22   두 달란트를 받은 사람도 다가와서 '주인님, 주인님께서 두 달란트를 내게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두 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23   그의 주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잘했다, 착하고 신실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신실하였으니, 이제 내가 많은 일을 네게 맡기겠다. 와서, 주인과 함께 기쁨을 누려라.'

24   그러나 한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다가와서 말하였다. '주인님, 나는, 주인이 굳은 분이시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시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시는 줄로 알고,

25   무서워하여 물러가서, 그 달란트를 땅에 숨겨 두었습니다. 보십시오, 여기에 그 돈이 있으니, 받으십시오.'

26   그러자 그의 주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악하고 게으른 종아, 너는 내가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 알았다.

27   그렇다면, 너는 내 돈을 돈놀이 하는 사람에게 맡겼어야 했다. 그랬더라면, 내가 와서, 내 돈에 이자를 붙여 받았을 것이다.

28   그에게서 그 한 달란트를 빼앗아서, 열 달란트 가진 사람에게 주어라.

29   가진 사람에게는 더 주어서 넘치게 하고, 갖지 못한 사람에게서는 있는 것마저 빼앗을 것이다.

30   이 쓸모 없는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쫓아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가는 일이 있을 것이다.'"

======================================================

성서를 잘 읽어보면 통상적인 기독교인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의미가 딴판인 경우가 참 많은데요. 대표적으로는 현대의 교회(개신교회)는 거둘 권한이 없는 십일조 관련 구절들이라던지...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위의 내용도 사실 잘 읽어보면 통상적으로 세간에 알려진 의미와는 조금 다른 내용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네요.


1. 먼저 종마다 각기 다른 액수의 달란트를 부여받았다 : 이것은 개개인이 부여받는 세상의 재능과 지식, 환경 등등은 차등이 있으며, 세상의 원칙상 이러한 것들이 평등하게 배분되는 일은 없다는 것입니다.

누군가는 5달란트라는 넘치는 환경과 재능, 유전을 가지는 반면, 누군가는 1달란트도 안되는 별볼일없는 환경, 재능, 유전을 가진다는 것이죠.


2. 5달란트 받은 종은 5달란트를 벌었고, 2달란트 받은 종은 2달란트를 벌었으나, 1달란트를 받은 종은 돈을 벌지 못했다 : 세상에 존재하는 레버리지의 원칙을 말합니다. 

5달란트의 환경과 재능을 가진 사람은 5달란트 혹은 그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지만, 2달란트의 환경과 재능을 가진 사람은 2달란트의 성과조차 거두기 힘들며, 1달란트의 환경과 재능을 가진 사람은 성과 자체를 거두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근래에는 네트워크 효과의 발달로 능력과 성과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데, 5달란트 받은 사람은 50달란트를 벌고, 2달란트 받은 사람은 1달란트를 벌며, 1달란트의 환경과 재능을 가진 사람은 1달란트조차 잃는 게 현대 정보 집중 사회에서 흔히 벌어지는 일이죠. 

재능 있는 연예인들은 돈을 갈퀴로 긁어모으는데, 평범한 지능과 재능, 외모를 가진 사람에게는 최저임금도 간당간당하며, 그보다 못한 사람에게는 어딜가나 열등 종자, 도태남, 김치녀 등으로 멸시만 당할 뿐이라는 것을 보면 충분히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3. 주인은 10달란트를 가진 종에게 큰 칭찬과 함께 1달란트를 더 얹어 주었으며, 1달란트를 받은 종을 질책하였다 : 세상의 법칙상 가진 자는 신의 온총으로 더더욱 가지게 되며, 재능과 환경이 볼품없는 자는 세상의 법칙상 가진 것조차 빼앗기고 착취를 당한다는 이야기입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이와 같은 일이 더더욱 심화되고 있는데요.
가진 자는 클릭 몆번만으로도 평범한 사람이 평생 벌어야 만질 수 있는 돈을 벌 수 있지만, 평범한 사람은 일평생 일해서 빚더미에 앉지만 않으면 다행이고, 가진 것이 없는 사람들은 최소한의 인권조차 무시당하면서 사회 구석에서 가진 것조차 빼앗기며 비참하게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려주는 비유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글에 대한 의문점이나 요청점, 남기고 싶은 댓글이 있으시면 남겨 주세요. 단 악성 및 스팸성 댓글일 경우 삭제 및 차단될 수 있습니다.

모든 댓글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Translate